[논문]
• Kim, Moohan. (2018). Influence of Perceptual Range on Human Perceived Restoration. Sustainability, 10(9), 3139
• Kim, Moohan., Sung, J. S., & Lee, J. W. (2017). Perspectives on the Direction of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from Local Residents and Non-Local Visitors. Sustainability, 9(10), 1832.
• Kim, Moohan., Gim, T. H. T., & Sung, J. S. (2017). Applying the Concept of Perceived Restoration to the Case of Cheonggyecheon Stream Park in Seoul, Korea. Sustainability, 9(8), 1368.
• Lee, J. H., Kim, Moohan., Kim, B., Park, H. J., & Kwon, H. S. (2017). Performing Ecosystem Services at Mud Flats in Seocheon, Korea: Using Q Methodology for Cooperative Decision Making. Sustainability, 9(5), 769.
• Park, J. M. & Kim, Moohan. (2018). Places of Memory in the Collective Memory of Locals in Janghang, Korea.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, 12(4), 45-58.
• Park, J.M. & Kim, Moohan. (2018). A Place Memory, New Way of Seeing the Cultural Landscape.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: International Edition, 16, 36-48.
• 김무한, 주우영, 정윤석, 한승주, 박성빈. (2019). 습지보호지역을 대상으로 한 문화서비스 평가 연구.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, 22(6), 139-146.
• 김무한, 박재민, 조성아. (2018). 장소기억 개념을 활용한 철원군 유곡리 통일촌의 장소브랜딩 연구. IDI도시연구, 14, 213-234.
• 김무한, 최정권, & 박재붕. (2018). 탄천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통한 생태계서비스의 트레이드오프 관계 고찰.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, 21(1), 31-40.
• 김무한. (2017). 건강환경 조성을 위한 주의회복이론 관점의 치유환경 고찰: 청계천을 중심으로. 한국조경학회지, 45(1), 94-104.
• 이희연, & 김무한. (2016). 통일촌 유곡리 일상화 장소성 발굴과 유곡리 브랜딩. 환경논총, 57, 62-70.
• 김무한, & 성종상. (2015). 고산 윤선도 금쇄동 정원유적 정비에 관한 연구.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 91, 41.
• 김무한, & 성종상. (2015). 고산 윤선도 수정동 정원유적 정비에 관한 연구. 한국전통조경학회지, 33(2), 12-20.
• 김무한, 성종상, & 박재민. (2014). 행태의 장 이론 적용을 통한 청계천의 환경-행태연구. 한국도시설계학회지, 15(4), 33-46.
• 박재민, 김무한. (2014). 장소기억을 통한 문화경관의 층위 해석: 형용사를 사용하여. 한국조경학회지, 42(2), 10-18.
[학술대회 발표]
• Moohan Kim. (2019). Pros and Cons of Urbanization: Health Indicators and Land Cover. Liveablel Cities Conference 2019, Adelaide.
• Moohan Kim & Young-Seo, Yu. (2019).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in Aesthetic Quality of Landscape, Focusing on Wetland in South Korea. Council of Educators in Landscape Architecture 2019 Annual Conference.
• Moohan Kim. (2019). A Study of Salutogenic Environments Settings for Older People. Council of Educators in Landscape Architecture 2019 Annual Conference.
[주요실적]
• 2020 / 2023 순천국제정원박람회 종합실행계획수립용역 / 순천시
• 2020 / 핵심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및 보전방안 연구 2020 / 국립생태원
• 2019 / 핵심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및 보전방안 연구 2019 / 국립생태원
• 2019 /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 ’정원에 간 불당골’ / 서울특별시
• 2019 / 도시재생뉴딜사업 계획수립 연구용역 / 예산군
• 2018 / 핵심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...(문화서비스) / 국립생태원
• 2017 / 노인 및 커뮤니티를 위한 건강증진환경 조성방안 연구 / 서울주택도시공사
• 2017 / 전국단위 생태서비스 평가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/ 국립생태원